비타민(Vitamin) 상식



비타민(Vitamin) 상식
작성일 : 11-09-30 10:06

비타민(Vitamin) 상식

‘생명’을 뜻하는 ‘vita’와 ‘질소함유 유기물질’인 ‘amine’의 합성어가 ‘Vitamine’이다. 하지만 모든 비타민이 amine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어미의 ‘e’가 빠져 ‘Vitamin’이 되었고 현재 ‘Vitamine’Vitamin’이 혼용되고 있다. 비타민은 13종의 유기물질이며 효소 또는 조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무기질의 대사에 관여한다. 지용성 비타민은 수용성 비타민에 비해 비교적 고열에 대한 손상 정도가 덜하고 장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기 때문에 지방 흡수율이 저하되면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도 지장을 받는다.

비타민 B 복합체는 비타민 B가 한가지 물질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B1,B2…등 넘버링하여 구분하게 되었다. 사람을 살아 있게 하는 물질이 바로 비타민이다

. 피부, 점막, 성호르몬, 생식, 뼈 비타민 A

비타민 A는 성 호르몬 생성. 생식 기능. 골격 성장 촉진. 뼈 건강에 관여한다.

간질환은 비타민 A 결핍을 초래하며 비타민 A 부족 증상은 시력 감퇴, 야맹증. 안구 건조증(눈이 빡빡해지고 쉽게 피로해 진다), 결막염 등 각종 안 질환 및 탈모, 거친 피부. 각막 건조증, 감기, 폐렴, 장 점막 질환, 만성 설사, 피부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에너지 비타민 B

1910년 비타민 B가 처음 발견된 당시에는 한 종류라고 생각했으나 지금까지 8 종류가규명 B1(thiamine), B2(riboflavin), B3(niacin), B5(Pantothenic acid), B6(pyridoxine), B7(biotin), B9(folic acid), B12(cyanocobalamine) 8 종류가 하나의 팀을 이루어 다양한 체내 효소 반응에 관여한다.

비타민 B군은 모두 거의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한 종류가 결핍되면 다른 B군도 무용해지기 때문에 균형 섭취가 중요하다.

비타민 B1은 에너지 공급 및 노폐물 대사에 관여한다. B1 외에도 B2, B3 등 대부분의 비타민 B군도 마찬가지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 등 모든 대사 과정과 신경, 피부, , 모발,, 위장, 근육은 물론 뇌 기능을 활성화해 우울증이나 불안 경감에도 도움이 된다

피로 회복 비타민 C

가장 대중에게 친숙한 비타민이며 미용과 피로 회복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 항산화 영양소이며 콜라젠 형성 및 상처 치유 촉진 기능이 있어 주름 및 흉터 제거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도 사용된다. 철분 흡수를 촉진하여 빈혈에도 효과적이다.

비타민 C가 결핍되면 잇몸이 붓고 피가 나며 이가 흔들거리고 관절과 다리가 뻣뻣해지며 상처가 잘 낫지 않은 괴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괴혈병이 아니라도우울증, 피로감을 느낀다. 흡연자는 비타민 C 소모량이 많다. 담배 1개비는 비타민 C 25mg을 소모한다.

키 성장 비타민 D

Calciferol은 뼈를 강하게 하고 키를 크게 하는 비타민으로 성장기 어린이에게 권장된다. 비타민 D는 햇빛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한다.

비타민 D가 결핍되면 발생하는 구루병이 최근 다시 유행하고 있다. 햇볕을 차단하는 실내 생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골 형성으로 최대 골량에 도달하는 시기가 20~30대이다. 비타민 D가 부족하면 20-30대에 최대 골량 형성을 방해하여 나이가 들어 골다공증이나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

헬시에이징 비타민 E

비타민 E는 불임을 방지하는 영양소로 밀 배아유에서 추출된 지용성 비타민이다. 또한 강력한 항 산화 작용. , 심근 경색, 뇌졸증 등 생활 습관병을 예방한다. 산소는 음식물을 태워 에너지를 만드는 중요한 기능이 있다. 이때 활성 산소를 생성하여 태워서는 안될 것까지 태워버린다. 활성 산소의 표적이 되는 것은 생체막과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이다. 비타민 E는 강력한 항 산화작용으로 생체막과 세포막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 피부 건강과 젊음을 유지한다.

비타민 K

해조류, 푸른 잎 채소에 풍부한 지용성 비타민이다. 녹황색 채소에 포함된 K1과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는 K2가 있다. 장내 세균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결핍되기 어렵다.

장기간 항생제 복용하는 어린이에게 결핍 위험이 많다. 비타민 K는 혈액 응고 인자 합성에 작용한다.

평소에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성분이 존재하며 이 성분 합성에도 비타민 K가 필요하다. 즉 비타민 K는 혈액을 응고 시키기도 하고 묽게 하기도 하는 양면이 있어 이 양대 기능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다 K는 또한 뼈에서 칼슘이 용출되는 것을 억제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