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 알콜성 간질환의 효과적인 관리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백 경 신 <약사교육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원 석사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박사
現 약사교육연구소 대표
現 대한약학회 개국분과학회 부회장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간이 정상적인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간 내의 혈액 순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간세포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단백질 결핍이 계속되면 간 단백질이 줄어들어 효소의 효능은 저하되고 간의 기능도 저하되게 된다. 간 세포의 손상은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주범이다. 이러한 산화는 대부분 free radical 물질들에 의해 야기되어진다.
▲ 레드 클로버 (붉은 토끼풀)
식물 에스트로겐을 함유하고 있고 아메리카인디언에 의해 암 예방과 염증으로 인한 통증 치료와 거담제로 사용되는데, 여성 호르몬 작용이 있고 골밀도를 높이고 H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높인다. 소변의 점액 생성 촉진하며 혈액과 간에서 독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 밀크씨슬 (실리마린, 실리빈)
유리기에 의한 손상 방지와 새로운 간세포의 생산 자극, 독소와 오염물질로부터 간과 신장을 보호한다.
- 밀크씨슬은 특히 간 보호제 혹은 간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된다. 이것은 간, 비장 그리고 담도계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유럽의 전통에 기인한다. 표준화된 처방이 유럽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모든 종류의 간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쓰여 왔다.
밀크씨슬 씨앗은 실리마린(Silymarin)을 함유하는데, 실리마린은 실리빈, 실리크리스틴, 실리디아닌의 세 가지 기본적인 플라보노리그난트의 복합체이며 이 중 실리빈이 가장 많다. 이 혼합물이 간 독소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간 질환을 치료하는 몇 가지 기전이 제시되고 있다.
- 실리빈은 시험관 연구에서 지질의 과산화를 줄이고, 혈소판, 백혈구, 그리고 내피세포의 프리래디컬을 청소해 주는 항산화제로 이들은 실험실과 생체시험 모두에서 글루타치온과 SOD와 같은 중요 내인성 항산화제의 감소를 억제한다. 이 효과로 인한 다양한 간 독소(예, 애머나이터 속의 독버섯, 아세트아미노펜, 사염화탄소, 그리고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의 산화성 손상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5-리폭시제나아제(불포화지방산에 산소를 첨가함으로써 과산화 상태를 만드는 효소)를 강력히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류코트리엔의 형성을 줄인다. 그러나 싸이클로옥시제나아제를 억제하는데 필요한 고농도는 임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실리빈은 시험관 연구에서 쿠퍼세포(간에서 대식 세포 기능 등 면역 기능을 하는 세포)의 활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결과 만성 간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빈은 약물 중독 48시간 이내에 복용하고, 질병의 중등도가 경도 내지 중등도이면 임상 경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실리빈을 상태가 심한 환자에 사용했을 때 이전의 보고들 보다 사망률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실리마린은 DNA-의존성 RNA-중합효소 1을 자극함으로써 시험관 연구에서 간 단백질의 복사를 증가시킨다. 이 작용은 간에서 세포의 재생에 기여할 수도 있다. 또한 담도 섬유증의 실험동물 모델에서 콜라겐의 축적을 늦추는 기전이 만성 간질환 경과를 좋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글루타치온 농도를 증가시켜 해독과정에서 글루타치온 결핍을 예방하여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플라보리그난 화합물이 담석증과 황달에 유효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고, 실리빈(실리마린)이 분리되어 동물 간의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좀에서의 Lipid Peroxide 생성을 억제하는 강한 효과와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작용도 밝혀졌다.
- 실리마린은 생체 내 간의 지방대사에 대해 항간독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또한 세포막의 안정화로 간의 다양한 Pathogenic noxa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을 가져온다.
▲ 비타민C/비타민E/셀레늄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은 공통적으로 강력한 항산화제다. 특히 비타민 C는 항 바이러스 작용을 하고 간염 예방과 회복에 도움을 주며, 비타민 E는 세포막의 산화방지와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주고, 셀레늄은 정자 생성, 남성 성기능, 독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 칼슘 D 글루카레이트
칼슘 D 글루카레이트는 자몽, 사과, 오렌지, 브로콜리, 싹양배추에서 발견되는 식물추출물로 독소와 다른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소인 베타-글루쿠로니다아제를 차단하는 과정인 글루쿠론산 포합을 촉진하는 천연성분이다.
연구에 따르면 칼슘 D 글루카레이트는 신체의 해독작용 보조에 효과적이며, 체내 과도하게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을 제거하고 독성 화학물질, 스테로이드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 십자화과 식물(브로콜리 등 녹색 과일, 채소) 함유 설포라페인, 디인돌메탄, 인돌3카비놀
미국 시사주가지 타임 선정 10대 건강식품인 브로콜리에는 설포라페인, 인돌3카비놀, 디인돌메탄(DIM)이 함유되어 있다.
십자화과 채소는 이소티오시안산이라 불리는 합성물질이 포함되어 암 예방, 발암 억제에 효과적이며, 동물실험에서 유방암의 성장억제, 세포사에 대한 역할이 밝혀졌다.
▲ 블루페룸 (묏미나리, 시호(柴胡))
한국, 중국 등에서 간장, 신장병에 쓰이던 약초로 시호뿌리는 열내림 작용, 전초는 리담(利膽)작용, 간 해독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해열, 독풀이, 진통, 항염증 약으로 학질, 간염, 늑막염, 월경통, 황달, 간염 약으로 한의학에서 사용된다.
柴胡味苦瀉肝火 寒熱往來虐疾可(시호미고사간화 한열왕래학질가)
▲ N-아세틸 시스테인
면역체계를 자극하고 담배 연기, 매연, 살충제, 제초제, 훈제 육류에서 발생하는 독성 및 발암 물질과 활성산소에 대항 능력을 갖고 있으며, 글루타치온 전구물질로 항산화 작용을 한다. 아세타미노펜(타이레놀 성분)에 의한 간 손상의 해독에 탁월하다.
▲ 아티초크
수백년 동안 이뇨제로 사용되었고, 독소, 감염으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간 세포의 재생과 담즙 생성을 증가시켜 간을 강화한다. 유럽에서는 소화기계와 요도(尿道) 건강을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레딩대학 레이프 번디 박사팀에 의해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에 대한 논문이 발표된 바 있다.
▲ 레시틴
간 세포를 보호하고 지방 동원제이다. 지방간의 방지를 돕는다.
▲ 알파-리포산
간을 보호하는 항산화 특성을 갖는다.
▲ 유리 아미노산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서 간은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유리 아미노산을 복용하면 그 부담을 덜어서 간의 과로를 덜어준다.
▲ IP-6(6인산 이노시톨)
간 보호 작용을 포함해서 인체에 여러 가지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피틱산이라고도 한다.
▲ 칼슘과 마그네슘
간 질환에서 문제가 되는 응혈에 필수적이다. 킬레이트 제제를 사용한다. 골분은 사용하지 않는다.
▲ 필수지방산
필수 지질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간의 염증을 억제하고 혈청 지방의 감소를 위해서 사용한다.
▲ 마이타케 (표고버섯 추출물)
면역계를 부양하고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한다.
▲ 구기자
캐로티노이드에 속하는 제아크산틴, 베아틴, 베타시토스테롤, 리놀레산 등의 생리활성이 지질 증가를 억제하며, 항지간성 및 간기능 보호작용이 추정된다. 특히 베타인은 항지방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 강황
터메론과 커큐민이 주요 성분으로, 커큐민이 간 기능을 항진시키며 담즙 분비 촉진 작용과 항균 작용이 있다.
▲ 오미자
오미자는 B형 간염 환자의 증상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동물실험에서 GOT와 GPT의 병적 상승을 억제한다. 간 보호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간 보호 작용기전은 지질 과산화 및 Liver Microsomal Monooxygenase 유도의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 치자
쥐에 치자 추출물을 투여 시 담즙 분비 촉진 작용이 있으며 간 독성을 일으킨 후 치자 추출물을 경구투여하면 빌리루빈, GOT 및 GPT 수치가 현저히 감소한다.
▲ 녹차
녹차 속 폴리페놀 성분의 일종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투여한 결과 괄목할만한 간 기능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용량을 달리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쥐에 투여한 뒤 체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활성산소의 생성량과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고용량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투여한 쥐의 경우 사염화탄소로 인해 유발되었던 모든 유형의 간 손상정도가 저용량 투여 그룹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필자가 기록한 내용에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혹 도움이 필요하시면 Ksubaek@yahoo.co.kr로 연락주시면 자세한 답을 드리겠습니다.
월간의약정보 : 02-3270-0241∼2 Fax : 02-3270-0249 E-mail : druginfo@yaku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