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판 불로초 글루타치온(GSH) - 해독제, 면역증강제, 항산화제
http://blog.naver.com/ws88kr/120105369238
글루타치온(GSH)의 중요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학자는 몬트리올 McGill대학 교수인 Gimmy gutman이다. 그는 많은 사람의 건강과 질병이 글루타치온과 관련 되었다고 보고했다.
글루타치온(L-r-glutamyl-L-cysteinglycin)은 Glutathone sulfhydryl의 일반적인 명칭이며 약자로 흔히 GSH로 쓴다. GSH는 글리신(glycine), 글루타민(glutamine), 시스테인(cystein) 세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만든 형태의 트리펩타이드 (Tripeptide)로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된다. 글루타치온은 온몸의 세포에서 생성되지만 주로 간에서 생산된다.
현재 일반인들에게 글루타치온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앞으로는 비타민처럼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물질로 인식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체내에서 GSH농도가 낮으면 곧 질병과 죽음을 의미할 정도로 GSH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글루타치온은 체내에서 해독기능, 면역기능, 항산화 기능 등 핵심적인 역활을 한다. 만약 결핍된다면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인체는 치명적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글루타치온은 인체내에서 매우 중요한 해독제다. 우리는 매일 약품, 오염물질, 발암물질, 방사선 등과 같은 수많은 독성물질을 접하게 되지만 별문제가 없이 건강하게 지낸다. 그것은 독성물질이 글루타치온의 효소시스템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이다. 만약 글루타치온이 체내에서 감소한다면, 간 기능이 저하되고 결국 독성물질의 과다 축적으로 인해 죽게 될 것이다.
우리의 몸은 매일 많은 병원균에 공격 받으며 암세포나 돌연변이 세포가 탄생하게 되지만 면역 시스템에 의해 차단된다. 인체의 면역 시스템은 끊임없이 세포손상과 질병을 유발시키는 병원균과 암세포를 찾아 내 공격하여 보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루타치온이 부족하게 되면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기능하지 못해 질병이나 암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인체는 활성산소에 의해 끊임없이 산화된다. 활성산소는 세포벽에 손상을 입히거나 파괴시키고 지질을 과산화시켜 많은 질병을 유발하지만 우리 몸의 항산화제 시스템에 의해 보호된다. 글루타치온은 가장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다.
글루타치온은 이처럼 해독제, 면역시스템 증진제, 항산화제로써 우리들의 삶을 유지하고 건강과 장수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사람의 면역 시스템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나 해로운 유기체, 암세포나 손상된 세포를 찾아 확인하고 공격을 하는 군대 역할을 한다.
병원균이 혈액에 침투하게 되면 면역세포(백혈구)들은 활성화 된다.
면역세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 대식세포(macrophage)는 단순히 병원균을 잡아 먹지만, 작은 면역세포는 정교한 방어체계를 작동하여 대처한다. 이들 면역시스템은 B세포 림프구가 병원균을 인식하고 이들을 T세포 림프구가 타겟으로 표시하고, Helper T 세포는 면역세포들에게 병원균과의 전쟁에 참여하라고 알리고, Killer T 세포는 침입한 병원균을 파괴하며, suppressor T세포는 병원균을 파괴한 이후, 면역 반응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은 면역세포의 성장과 활동성은 글루타치온(GSH)의 양에 의존하여, 그 양이 적게 되면 면역기능도 저하되어 질병을 일으킨다. GSH는 면역세포의 기능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여 병원균을 예방하고 면역시스템이 잘 작동하도록 도와준다.
글루타치온을 제외하고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항산화제는 별로 없다. 대부분의 항산화제는 섭취하는 음식이나 외부로부터 공급 받아야 된다. 그러나 글루타치온은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그래서 글루타치온을 최고의 항산화제라고 부른다.
글루타치온을 최고의 항산화제라고 부르는 이유는 또 있다. 글루타치온이 다른 항산화제의 작용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비타민 C나 비타민 E가 활성산소를 만났을 때, 그들은 활성산소를 글루타치온에 넘겨준 후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글루타치온이 다른 항산화제와 같이 작용을 하며 조절자(regulator)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활성산소를 만난 글루타치온은 전자를 주어 유해성이 없는 물분자로 만들고, 자신은 다른 자유라디칼을 가진 글루타치온 분자와 짝을 맺음으로써 독성이 없는 짝지은 글루타치온(GSSG) 분자가 된다. 짝지은 글루타치온(GSSG)은 항산화제 역할을 못한다.
그러나 글루타치온은 여기에서 그의 활동을 끝내는 것이 아니다. 항산화제 작용을 못하는 짝지은 글루타치온(GSSG)이 효소에 의해 원래의 글루타치온으로 환원되어 또 다시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한마디로 글루타치온은 춤추고 북치고 장구치는 팔방미인 항산화제인 것이다.
글루타치온의 활용도를 높이는 보조인자
글루타치온은 대부분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섭취해서는 GSH를 높이기 쉽지 않다. 글루타치온이 트리펩티드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 구조상 소화과정에서 쉽게 살아 남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루타치온을 체내에서 합성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지만 활용도를 높이거나 재활용하여 글루타치온의 기능을 강화시킬수 있다.
그것은 바로 글루타치온의 활용을 높이는 보조인자가 있는데 미네랄과 비타민, 항산화제들이다. 대표적인 물질로 리포산, 셀레늄, 비타민B1, B2, C, E가 있다.
리포산과 비타민B1, B2는 글루타치온 환원효소(glutathion reductase)를 활성화시켜 프리라디칼과 결합하여 산화된 글루타치온(GSSG)을 글루타치온으로 전환시켜 글루타치온의 수치를 증가시켜 세포의 생존능력을 향상시킨다.
셀레늄은 글루타치온 과산화제(glutathion peroxidase) 활성화를 증가하여 글루타치온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비타민 C와 E는 글루타치온 이동효소(glutathion transferase)를 활성화시켜 프리라디칼이 글루타치온에 결합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여 독성을 제거한다.
Written by Dr. Hong
글루타치온(Glutathione) 결핍증세와 강력한 항산화 효능
Posted by 비웰
글루타치온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매우 강력한 항산화물질이다. 시스테인과 함께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를 증가시킨다.
이 효소는 활성산소(프리레디칼)가 간, 폐, 심장과 혈액 등을 손상시키지 못하도록 해준다.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는 DNA의 복구, T임파구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활성산소의 형성을 방지해 주고, 활성산소에 의해 이미 손상된 세포조직을 보호해 줄 수 있다.
흡연이나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알코올 등에 의해 망가진 인체를 보호해 주기도 한다. 또 중금속이나 약물을 해독시켜 간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체내에서 글루타치온(glutathione)을 가장 많이 저장하고 있는 곳이 간이며 여러 가지 음식을 통해서도 간에 저장된다. 어떤 경우에는 혈관으로 직접 유입되어 적혈구를 맑게 해 주고 백혈구를 보호해 준다.
글루타치온은 폐와 장에도 있어 탄수화물의 신진대사를 돕고, 동맥경화를 조장시키는 산화지방을 분해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뇌세포, 심장세포, 면역세포, 신장세포, 안구세포, 간세포, 폐세포, 피부세포 등의 산화를 방지해 준다.
글루타치온이 결핍되면 우선 신경계에 정신질환, 떨림증세 그리고 균형유지 결핍등을 나타낸다.
글루타치온의 수치는 나이와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글루타치온 결핍은 노화를 촉진시킨다는 말과 상통한다.
글루타치온이 질병을 예방하는 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셀레늄, 비타민 B12(리보플라민),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 등을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정종을 박사 / 대체의학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글루타치온의 중요성
글루타치온(Glutathion)이란?
글루타치온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글루타치온은 비타민 C와 E, 코큐텐, 리포산과 더불어 으뜸 항산화제 (MASTER ANTIOXIDANT)의 하나입니다.
글루타치온은 신체의 면역 방어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글루타치온의 상실은 프리래디칼의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약화시킵니다. 글루타치온은 다양한 독성물질의 영향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합니다.
글루타치온은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체에서 발견됩니다. 글루타치온은 인간에게서 그것이 필수적인 생물학적 기능을 행하는 장소인 간이나 비장, 신장, 췌장 등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글루타치온은 뇌 안의 단백질에 미치는 손상을 막아 주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흔히 “영리한 영양소” (smart nutrients)로 분류됩니다. 글루타치온은 또한 환경성 독성 물질에게서 위점막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글루타치온과 화학요법 (Glutathione and Chemotherapy) 글루타치온은 화학요법을 방해할까요?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이탈리아에서 과학자들이 글루타사이온과 독성 항암제인 시스플라틴과 사이크로포스파미드 혼합물 2,500 밀리그램을 갖고 실험했습니다.
한 임상 실험에서 이 혼합물을 진행성 난소암 환자인 20명의 여성에게 투여했습니다. 심지어 말기 암환자에게서도 55%의 완전 반응율을 보였습니다.
평균 생존율은 26.5 개월이었고 5명의 환자는 3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살아 있으며 암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암의 진행단계와 유형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매우 양호한 것이라 간주되었습니다.
게다가, 이 치료법의 독성은 예상 외로 가벼웠으며 신장 손상 (일반적으로 알려진 시스플라틴의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이탈리아 과학자들은 글루타치온이 시스플라틴이나 사이클로포스파미드의 활동에 어떠한 “부정적인 간섭”도 하지 않을 뿐더러 치료 결과도 증진시킬지 모른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 결과를 뒷받침하는 다른 연구들이 많습니다.
공교롭게도 사이클로포스파미드는 댄 래브리올라 박사와 로버트 리빙스턴 박사가 “항산화제와 민감하게 상호작용한다”고 주장했던 “정통 알킬레이트류 (classical alkylating agents)”의 하나입니다.
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은 종양전문의들에게 그러한 약과 항산화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피하도록” 권고합니다.
상술된 것과 같은 연구들은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경고를 단호히 반박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성식품?
글루타치온 자체는 흡수되기 어려워서 저농도로 가진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 만이 건강기능성식품에서 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일 글루타치온 서플리먼트를 복용한다면, 또한 그것의 항산화 활동을 보강하는 셀레늄과 비타민 B2를 반드시 섭취하십시오.
대다수의 사람들은 간접적으로 글루타사이온 수치를 보전하거나 증가시키는 건강기능성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이 중 가장 저렴한 방법은 리포산을 복용하는 것으로, 50 내지 100 밀리그램를 복용한다면 글루타사이온 수치를 30% 이상 증가합니다.
인기 있는 또 다른 글루타치온 상승제로는 아미노산 시스틴 (amino acid cysteine)이나 엔아세틸시스틴 (N-acetylcysteine) 등이 있습니다.
건강정보
Glutathione 강한 항산화제
Glutathione은 간에서 생산되는 강한 항산화제로 이 것이 부족하면 우리 세포는 산화되어 적혈구 세포벽이 잘 깨져서 용혈성빈혈이 되게 되며 면역이 약해지고 암에 걸럴 확률이 높아지며 에이즈환자는 더 빨리 사망하게 된다.
Glutathione은 간의 해독과정 I과 II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과음이나 간경화, 간질환, 간염 등이 있을 때는 간에 glutathione의 수치가 낮다.
동물실험에서 Aflatoxin을 주어 간암이 생긴 쥐에게 glutathione을 복용시킨바 현저하게 간암이 감퇴하였고 생존율이 현저하게 연장되었다. Aflatoxin으로 인해 간암에 걸린 쥐들 중에 glutathione을 주지 않은 쥐들은 다 24개월 안에 죽었지만 glutathione을 준 쥐들의 81%는 24개월이 되어도 살아있어 사람 암치료에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Glutathione은 항산화작용이 강하므로 백내장에도 효과가 있으며 중금속, 농약, 프라스틱 독성, 자동차 매연가스, 담배의 독성, 양약의 독성을 해독하는데 필수적이다.
필수적인 항산화제라 불로초로 꼽는다.
글루타치온(Glutathione)
작성일 : 09-05-23 10:14
기 호: Gln, Glu(NH2)
일반명: L-Glutamine, Levoglutamine
분자식: C5H10N2O3 (Mw: 146.15, Nitrogen 19.17%)
GLUTATHION은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으로 강력한 항산화 역할 때문에
Master Antioxidant로 알려져 있다.
시스테인(Cyste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글라이신(Glycine) 3 종류 아미노산으로 합성된 트리펩타이드(Tripeptide)이며 엄밀한 의미의 아미노산은 아니다.
간에서 생산되는 수용성 항산화제다.
글루타치온은 다른 항산화제의 조절자(regulator)로 기능한다.
글루타치온이 결핍되면 비타민 C나 E의 항산화 기능을 유지할 수 없다.
세포 내 글루타치온 농도가 낮으면 죽음을 의미한다.
에이즈에 의한 사망자는 거의 글루타치온 농도가 낮은 사람이다.
독성 물질이나 알코올 대사가 일어나는 간에 글루타치온 농도가 가장 높다.
글루타치온은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장 흡수가 어렵다.
다만 Lipoic acid를 복용하면 글루타치온 농도가 높아진다.
또한 시스테인 전구물질인 N-아세틸 시스테인(NAC)이 글루타치온 농도를 증가시킨다.
글루타치온 농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좋은 방식은 글루타치온 원료가 되는 3가지 아미노산이나 Lipoic acid를 섭취하는 것이다.
글루타치온 농도가 떨어지면 심장 질환, 당뇨, 고혈압, 관절염이 호발한다.
글루타민은 오랫동안 비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되었지만 1980년대부터 “Conditionally Essential Amino Acid”(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이 되었다.
생체는 충분한 양의 글루타민을 합성하지만 스트레스, 발열, 다이어트, 질병, 화학 요법 중에는 증가한 글루타치온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없다.
이때는 부족분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글루타민은 질소 원자를 두 개 가지고 있어 신체 조직에서 질소를 운반하는 NITROGEN SHUTTLE 역할을 하며 뇌, 근육, 혈액등에 풍부하다.
글루타민은 장관(intestinal tract) 영양소로 중요하다.
질병이나 스트레스는 글루타민 요구량이 증가된다.
특히 장관, 간장, 면역 조직은 다량의 글루타민을 필요로 한다.
이때는 근육 내 글루타민이 조직 회복과 정상 기능 유지에 동원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글루타민의 기능은 면역계에 대한 작용이다.
글루타민은 면역 세포의 기능 증진과 함께 손상된 장관의 회복력을 높여 세균의 장관침입을 억제시킨다.
위장관 회복에 필수 영양소
소장 점막의 돌기(융모)를 형성하는 소장 흡수 세포(enterocyte)는 분열 속도가 매우 빠르다. 소장 흡수 세포는 영양소 흡수 등 정상 기능을 위해서 필요한 중요한 에너지원이 바로 글루타민이다.
소장 흡수 세포는 효소에 의해 글루타민을 글루타민산과 암모니아로 분해하고 글루타민산은 5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소화관 질환은 근육(=글루타민의 저장고)과 혈액 내 글루타민 농도의 현저한 감소를 동반한다.
글루타민은 소화관의 대사, 구조, 기능에 필수 영양소이며 궤양 형성을 억제한다.
염증성 장 질환, 항암제,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에게 글루타민을 보충하면 장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약물에 의해 발생한 위궤양에도 글루타민을 보충하면 도움이 된다.
글루타민의 간 기능 보조효과
장관은 글루타민 분해 효소의 도움으로 글루타민을 소비한다.
그러나 간장은 글루타민을 합성하고 또한 분해한다.
글루타민을 글리코겐(glycogen)으로 전환시켜 간에 저장시키는 포도당신생의 주요 원료 물질이다.
간장에서 일어난 대사 과정 중 생성된 유리 라디칼(free-radical) 제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은 글루타치온이다.
글루타치온이 부족하면 간 세포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간세포에 손상을 야기하기 쉽다.
글루타치온 합성은 대부분 간장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글루타민이 이용된다.
글루타민은 간세포의 글루타치온 전구물질이다.
글루타민을 투여하면 글루타치온의 저장량이 증가하고 간기능이 개선되며 면역 기능이 개선된 동물 실험 결과가 많다.
글루타민은 화학 요법이나 독성물질에 의한 간장 파괴 및 염증성 장해로부터 간장을 보호한다.
글루타민은 또한 지방 간을 예방한다.
글루타치온의 기능
1) 항암 작용
DNA 합성의 필수 효소이기 때문에 손상된 DNA를 수복시키고 DNA를 손상시키는 과산화 수소 유리기를 중화시킨다. 다른 산화제에 비해 더욱 강력한 항암 작용이 있다.
2) 아미노산 운반작용
아미노산은 그 자체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글루타치온 성분 가운데 시스테인은 메치오닌과 함께 단백질 합성에 동원되는 아미노산들의 세포막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3) 항염 작용
글루타치온 농도가 저하되면 유리 라디칼, 바이러스, 기타 독성물질에 의한 조직 손상을 방어할 수 없어 천식, 만성 류마치스 관절염, 자가 면역 질환 등 만성 염증성 질환이 생긴다.
글루타치온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과 함께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조절하여 항염 작용을 한다.
4)간 해독 작용
공기 속의 독소, 아세트 아미노펜, 호르몬 등 약물의 중간 대사 물질이나 독성 노폐물은 글루타치온에 의해 수용성인 유황 포합물로 변화시켜 소변으로 배설시킨다. 간에 고농도의 글루타치온이 필요한 이유이다.
5) 면역기능 증강 작용과 에이즈(AIDS) 발병 억제
T Helper의 농도를 증가시켜 HIV바이러스의 작용을 억제한다. 나이가 들수록 글루타치온의 농도 저하와 함께 T임파구 기능도 저하된다.
30-40대의 사람들의 T임파구와 70-80대의 사람들의 T임파구를 시험관에서 분리시킨 후에 글루타치온을 투여하면 30-40대의 T임파구 활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70-80대의 사람들의 T임파구 활성은 매우 증가된다는 보고도 있다. 글루타치온은 항염 작용을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1의 기능을 강화하고, 면역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2의 작용을 강화시킨다. 또한 노화된 면역 세포를 신속하게 대체시킨다.
6) 심장 질환 억제
시스테인 전구물질인 N-아세틸 시스테인(NAC)은 관상 동맥을 확장시키고 항 고지혈 작용, 항 혈전작용을 보여 허혈성 심 질환을 억제한다.
7) 호흡기질환치료
호흡기 감염에 의한 기침, 천식 증상을 완화시킨다
8) 대장염에 의한 궤양 수복 작용
글루타치온은 궤양성 대장염, 대장염으로 손상된 점막 수복작용이 뛰어나다.
9) 여성 탈모에 유효
유황이 부족한 식이 습관은 탈모의 원인이 된다. 탈모 여성은 하루에 5g의 글루타치온을 복용하여 발모를 촉진시킨다. 달걀 등 유황 함유 식품을 함께 섭취한다.
시스테인, NAC, 글루타티온, 알파리포산의 이해
글쓴이:에코-닥
게시물주소: http://vitamincworld.ohpy.com/36467/38
글내용 본문
시스테인, NAC, 글루타티온, 알파리포산의 이해
나라의원 031-703-0542
NAC와 글루타티온의 이해를 돕기위한 자료입니다.
1. 아미노산(amino acid)
ㅇ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이다.
⇒ 단백질을 완전히 가수분해하면 암모니아와 아미노산이 생성된다.
⇒ 아미노산은 아미노기(-NH2)와 카복시기(-COOH)를 포함한 모든 분자를 지칭한다.
⇒ 화학식은 NH2CHRnCOOH(단, n=1~20)이다.
ㅇ "α-아미노산"이란 말과 "아미노산"은 같은말로 이해해도 된다.
ㅇ "R"은 나머지라는 뜻의 "Residue" 혹은 "Remainder"의 머릿글자로 곁사슬(side chain)을 말한다. ⇒ 곁사슬의 구조식에 따라 아미노산의 종류가 결정된다.
※ 아미노산의 종류
알라닌, 시스테인(Cysteine, Cys),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페닐알라닌,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루신, 리신, 류신,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셀레노시스테인, 발린, 트립토판, 티로신
2. 시스테인(cysteine, L-cysteine, 엘시스테인)
ㅇ HS-CH2CH(NH2)COOH의 구조를 갖는다. 아미노산이다.
ㅇ methionine으로부터 만들어지며, 20개의 기본 아미노산 중에서 유일하게 티올기(황, -SH)을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이다.
ㅇ SH기(티올기, sulfohydryl)는 화학적으로 산화 환원반응의 활성이 지극히 높기 때문에, 다른 아미노산에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성질을 갖는다.
⇒ 산화환원에 관여할 수 있는 이 능력 때문에, 시스테인은 항산화능력을 갖고 있다.
⇒ 즉, 두 분자의 시스테인(cysteine)이 산화되면, 황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시스틴(cystine) 한 분자를 만든다.
※ Cysteine은 불안정한 반면 cystine은 안정되어 있다.
⇒ 시스틴이 환원되면 다시 두개의 시스테인이 형성된다
ㅇ 시스테인은 또한 항산화제인 글루타티온에 들어가있다.
ㅇ 그 외에도 Co-enzyme A, biotin, lipoic acid 등 여러 가지 필수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3. N-아세틸시스테인 NAC(N-acetylcysteine)
ㅇ 동의어 : N-acetyl-L-cysteine, Acetylcysteine
ㅇ Acetylcysteine은 시스테인의 유도체로서 제품 형태로 만들어진 성분이다.
ㅇ 시스테인의 질소 원자에 아세틸기(CH3CO-)가 붙은 형태이다.
ㅇ 체내에서 신속하게 분해되어 글루타티온으로 변한다.
ㅇ 의약계에서는 NAC를 낭포성 섬유증, 만성 기관지염, 천식, 폐기종과 같은 폐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해왔으며, 아세타미노펜(예, 타이레놀)의 과다복용 해독 치료에 기본적으로 사용해 왔다.
ㅇ 또한 NAC는 종양에 대해 직접적 효과가 있으며, NAC의 세포 해독 능력은 화학요법치료와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ㅇ NAC는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요구량이 다르다. 복용할 수 있는 양은 하루 200~2400 mg/day 이다.
4. 글루타티온(Glutathione)
1) 글루타티온의 합성
ㅇ 간에서 생산된다.
ㅇ 글루타티온(Glutathion) = 시스테인(Cysteine) + 글루타민산(글루탐산, Glutamic acid) + 글라이신(Glycine)의 3종류 아미노산으로 합성된 트리펩타이드(Tripeptide)이다.
※ 아미노산은 아니다.
2) 글루타티온의 중요성
ㅇ 강력한 항산화 역할 때문에 Master Antioxidant로 알려져 있다.
※ 간 및 전신의 항산화제, 항독소제(antitoxin), 항암제(anticarcinogen), 항돌연변이제(antimutagen)의 기능이 있다.
ㅇ 글루타티온은 다른 항산화제의 조절자(regulator)로 기능한다.
ㅇ 세포 내 글루타티온 농도가 낮으면 죽음을 의미한다.
예) 에이즈로 사망한 사람의 대부부은 거의 글루타티온 농도가 낮은 사람이다.
독성 물질이나 알코올의 대사가 일어나는 간에 글루타티온 농도가 가장 높다.
ㅇ 글루타티온 농도가 떨어지면 심장 질환, 당뇨, 고혈압, 관절염이 호발한다.
ㅇ 간에서 일어난 대사 과정 중 생성된 유리 라디칼(free-radical) 제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 글루타티온이 부족하면 간 세포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간세포에 손상을 야기하기 쉽다.
3) 체내 글루타티온을 높이는 방법
ㅇ 글루타티온 자체로는 소화관에서 파괴되고, 흡수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글루타티온을 직접 복용하는 것은 효과가 떨어진다.
ㅇ 시스테인 변형물질인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복용한다.
※ ALA(알파리포산, α-lipoic acid)와 NAC가 세포 내 글루타티온 합성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ㅇ 글루타티온 원료가 되는 3가지 아미노산(시스테인, 글루타민산, 글라이신)을 섭취한다.
4) 글루타티온의 기능
(1) 항암 작용 : 강력한 항암 작용이 있다. DNA 합성의 필수 효소이다.
(2) 아미노산 운반작용 : 글루타티온 성분 중 시스테인은 아미노산들의 세포막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3) 항염증 작용 : 강력한 항산화 작용 및 염증을 유발 유전자를 조절한다.
(4) 간 해독 작용 : 대사 물질이나 노폐물을 유황 포합물로 변화시켜 소변으로 배설시킨다.
(5) 면역기능 증강 작용과 에이즈(AIDS) 발병 억제
T Helper의 농도를 증가시켜 HIV바이러스의 작용을 억제한다.
(6) 심장 질환 억제
N-아세틸 시스테인(NAC)은 관상 동맥을 확장시키고, 항 고지혈 작용, 항 혈전작용을 한다.
(7) 호흡기질환치료
호흡기 감염에 의한 기침, 천식 증상을 완화시킨다
(8) 대장염에 의한 궤양 회복 작용
궤양성 대장염, 대장염으로 손상된 점막 수복작용이 뛰어나다.
(9) 여성 탈모 치료
유황이 탈모치료에 도움이 된다. 하루 5g의 글루타티온을 복용하면 발모를 촉진시킨다. 달걀 등 유황 함유 식품을 함께 섭취한다.
5. 알파 리포산(ALA, α-lipoic acid )
1) 특성
"Universal antioxidant" "Superantioxidant"
ㅇ 동의어 : Lipoic acid(리포산), Thioctic acid(치옥트산)
ㅇ ALA는 NAC와 함께 대표적인 글루타티온 증강 물질(enhancer)이다.
ㅇ 세포 내,외 그리고 수용성 및 지용성을 따지지 않고 어느 환경에서도 최상의 항산화효과를 발휘하는 수퍼스타 항산화제다.
ㅇ 비타민 E, C, CoQ10, 글루타티온 등 다양한 항산화제를 다시 재활용시키는 항산화제의 항산화제다(Antioxidant of antioxidant)
2) 알파리포산의 기능
(1) NFkB 억제를 통해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관여한다.
cf) NFkB(nuclear factor kappa B cells)
(2) 미토콘드리아 내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에너지 대사를 강화시킨다.
※ 특히 신경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3) 노화로 급증하는 3대 질환, 즉 뇌졸증, 심혈관 질환, 백내장에 대한 강력한 보호기능이 있다. 또한 뇌 노화(brain aging) 방지 효과도 있다.
(4) C 형 간염 및 다양한 간질환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5) ALA는 BBB(혈액-뇌 장벽)를 통과할 수 있는 소수 영양소 중 한가지이다.
⇒ 뇌세포의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킨다.
⇒ 뇌혈관 손상을 방어한다.
⇒ 뇌 졸증등 허혈성 뇌 질환을 치료할 때는 ALA를 함께 투여해야 한다.
(6) 말초 신경병증 개선 효과가 있다. 고용량의 ALA(200-600 mg)을 투여하면 3-4주 내에 통증이 완화되고 기타 신경 장애에 따른 불편감이 개선되기 시작한다.
※ ALA가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신경 섬유를 재생시킨다. 이 특성으로 인해 현재 의약품 으로 당뇨병성 말초신경염에 보험처방약으로 사용한다.
(7) 시상하부 내 음식물 섭취 자극을 억제, 조절하여 비만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 결론 ★
1. 항암치료, 각종 항산화 및 해독을 위해 글루타티온이 매우 중요하다.
2. 그러나 글루타티온을 직접복용하는 것은 효과가 떨어진다.
3. 글루타티온을 높이기 위해 아세틸시스테인(NAC)나 알파리포산(ALA)을 복용하는 것이 "자체의 효과 + 글루타티온의 효과"를 모두 얻는 일석이조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글루타치온 (Glutathione)
작성일 : 09-06-18 23:30
글루타치온은 신체 어느 곳이나 존재한다. 특히 BBB(blood brain barier)를 통과하여 뇌신경계 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뇌신경계의 난치성 질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글루타치온은 Glutathone sulfhydryl (GSH)의 일반 명칭으로 글라이신,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등3종류의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생성된 단백질이다. 이 가운데 시스테인은 유황(-sulfur)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파괴되기 쉽고 가장 결핍이 많아 GSH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타치온은 체내에서 합성되고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장에서 흡수가 어려워, 음식이나 영양 물질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경구 흡수를 돕기 위해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글라이신 등 아미노산을 함께 섭취하고, 글루타치온 전구물질인 NAC(N-아세틸시스테인)이나 리포산(lipoic acid)을 복용하기도 한다. GSH은 혈관 내 주사로 농도를 올릴 수 있다.
미국의 Dr. Perimutter는 고용량의 글루타치온 요법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을 치료한다.
글루타치온 기능
면역체계를 강화 시켜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손상된 장기의 회복을 돕는다.
1) 가장 강력한 항산화제: 프리라디칼 형성을 억제하고, 프리라디칼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
2) 강력한 해독작용: 중금속, 공해, 약물, 담배의 독성 물질등을 해독한다.
3) 암 생성 억제 작용: 암 특히 간암을 예방하며, 발암물질을 담즙을 통해 체외로 배출
3) 면역계 강화: T-lymphocyte의 생성과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손상된 장기 회복을 주도한다.
글루타치온 결핍
간 해독 기능이 저하되고, 독성물질이 장기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손상를 일으키거나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우리 세포는 프리라디컬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파괴되어 노화를 촉진 시키게 되고 면역력이 떨어져 바이러스 및 암에 대해 저항 할 수 없게 된다. 글루타치온 농도가 낮은 경우 만성 질환 발생률이 1/3 증가한다.
투여방식
글루타치온은 Glutathone sulfhydryl (GSH)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글라이신,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세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만든 형태의 단백질(트리 펩타이드)로 간과 세포에서 프리라디칼을 제거하여 세포손상을 방지하고, 각종 독성물질을 해독하며,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이 물질이 주목받는 이유는 노화와 암의 주범인 스트레스와 독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난치병이라고 하는 여러 질병에 대한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
미국의 신경과 의사 Dr. Perimutter는 글루타치온 치료의 선구자로 글루타치온 고용량 요법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을 치료하고 있다.
고용량의 글루타치온을 혈관으로 주입하는 방법은 가장 효과적이고 신속한 간 해독 수단으로 빠른 피로 회복이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노화 방지, 암 예방, 각종 난치성 질환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개인의 프리라디칼 농도와 중금속 누적 정도등를 감안하여 글루타치온 용량을 조절한다.
현대인은 대개 독성 환경, 스트레스, 불량 음식 때문에 고 용량의 글루타치온을 요구한다. 고 용량의 비타민 미네랄 주사 요법과 함께 글루타치온을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 더욱 강력한 효과를 보인다.
1) 개인에 맞는 글루타치온 용량을 정맥 주사한다.
2) 환자 상태나 환자가 원하는 개선 상태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비타민, 미네럴 제제를 주사한다.
3) 주사 시간은 10분-20분 사이다. 가능하면 빨리 주사하면 세포 내 영양소 흡수량이 많아진다.
4) 증상이 심한 환자는 3일에 한번, 경미한 경우엔 1주일에 한번씩 10-20회 주사한다.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글라이신을 함께 섭취하고, 전구물질인 NAC(n-아세틸시스테인)이나 lipoic acid를 섭취하기도 한다. 혈관 내로 직접 보충 하는 것도 좋은 방식이다.
밀가루, 빵, 국수, 라면, 등 탄수화물 섭취가 많거나 독성 물질이 많을수록 글루타치온이 부족하게 된다. 단백질과 지방음식 위주로 섭취하고 비타민 C와 단백질 파우더를 함께 복용하면 간에 글루타치온 저장량이 많아져 해독기능이 증강된다.
글루타치온의 중요성
가) 글루타치온이 부족하면 질병에 걸린다.
글루타치온이 부족하면 활성산소에 의해 뇌세포나 근육 관절등의 세포들이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질병이 생기게 됩니다.
글루타치온이 부족하면 활성산소에 의해 뇌세포나 근육 관절등의 세포들이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질병이 생기게 됩니다.
나) 연령이나 스트레스는 글루타치온 부족을 동반한다.
40대가 되면 글루타치온 혈중농도가 17% 감소한다. 독성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 정도는 더욱 커진다.
다) 음식이나 영양제로는 흡수가 어렵다.
글루타치온은 분자구조가 커서 소화 기관을 통해 흡수가 어렵다. 따라서 음식이나 영양제로 보충하기 힘들다. 특히 시스테인은 유황(sulfur)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글루타치온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라) 뇌혈류 장벽(BBB=Blood brain barrier)를 통과하기 때문에 뇌 기능을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