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AA (Branched-chain amino acid)



단백질 보충제(BCAA) 먹으면 10년 더 살 수 있다

2010/10/11 16:02
http://blog.naver.com/grimjapalace/1147

단백질 보충제 먹으면 10년 더 살 수 있다

보디빌더들이 주로 섭취하는 단백질 보충제가 수명연장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5(현지시간) 영국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이탈리아 브레시아 대학의 엔조 니솔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측쇄아미노산(BCAA)인 류신·이소류신·발린이 함유된 아미노산 보충제가 수명 연장에 기여한다고 발표했다.

니솔리 박사는 “동물실험결과, 보충제를 투여한 쥐가 일반 쥐들보다 약 80일 간을 더 살았다.

이는 쥐의 평균 수명의 12%가 향상된 수치다.”며 “인간 나이로 환산하면 약 10년 이상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아미노산은 노년기에 약해진 근육을 강화시키고,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 심폐기능 및 다른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니솔리 박사에 따르면 측쇄아미노산이 인간에 부작용을 미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 전해진 바 없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국제적 학술지인 ‘세포 대사 저널(the journal Cell Metabolism)’에 실렸다.

출처 - http://healthnara.com



아미노산, ‘생명연장의 꿈’에 한발짝 더!
업데이트 2011-03-11

최근 각종 질병의 치료와 영양 강화 및 미용 등 건강 전반에 대한 아미노산의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아미노산의 사이드체인인 탄소가 여러 개의 탄소로 분지되는 구조를 지닌 세 가지의 필수 아미노산을 뜻하는 ‘BCAA’가 인체 건강에 다양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알려져 수액제 등 이를 활용한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아미노산 주요 구성요소 ‘BCAA’

아미노산은 체조직과 효소 단백질의 구성요소로서 신진대사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영양소이다.

BCAA의 역사는 1806년 프랑스의 화학자 Henri Braconnot가 글라이신과 함께 루신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이 될 때까지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았고 20세기 초반이 되어서야 루신, 발린, 이소루신을 비롯한 필수 아미노산은 비필수 아미노산과 달리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하며 모든 아미노산 유닛이 합쳐져 단백질을 구성하고 세포의 성장과 대사에 관영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BCAA(Branched Chain Amino Acids)는 아미노산의 사이드체인인 탄소가 여러 개의 탄소로 분지되는 구조를 지닌 세 가지의 필수 아미노산을 말한다.

BCAA는 발린(Valine),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성분으로 기능하지만 세 영양소가 함께 작용하기도 한다.

BCAA는 우리가 음식으로 흡수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하루 섭취량의 50% 이상을 구성한다. 또한 사람의 근육 단백질을 구성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유동물 체내에서 기능하는 아미노산의 40%를 이루고 있다.

인체 내 세포에는 BCAA를 분해하는 효소 시스템이 강력하게 조절되고 있어 필요 이상 흡수된 BCAA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 회복에 도움

BCAA는 간에서 분해되는 여타 필수 아미노산과 달리 골격근에서 산화하기 때문에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은 에너지의 소비와 BCAA 산화를 증가시킨다.

근육에서 쓰이는 에너지의 공급원이자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변환하는 구연산 사이클의 중간생성물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알려진 BCAA는 따라서 운동 중 에너지 대사에 크게 기여한다.

열량섭취가 충분한 상태에서 BCAA는 근육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공급원이 되며,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식이조절에 BCAA의 보충을 병행하면 근육 긴장과 지방 연소가 증가해 보다 빠른 체중감량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세포의 단백질 합성작용을 직접적으로 촉진시키는 필수성분이기도 한 BCAA는 우리 몸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기는 일시적인 근육단백 파괴를 감소시켜 근육을 보존한다.

근육량의 보존은 건강과 생명유지에 필수적이므로 이는 BCAA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근육단백을 파괴시키는 스트레스는 수술, 외상, 간 경변, 감염증, 발열과 같은 질병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역도와 같은 근육운동, 또는 심각한 영양섭취 부족 등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를 회복하는데 꼭 필요하기 때문에 ‘Stress Amino Acid’라는 별명이 붙기도 한 BCAA는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고 간의 손상을 막아 간 경변 치유에 도움을 주며 스테로이드의 대체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탁월한 스트레스 조절 기능으로 인해 불면증에 유효한 효과를 내기도 한다.

아미노산 보충제 수명연장 효과 밝혀져

최근에는 모든 생명현상을 관장하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 보충제가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을 통해 밝혀지기도 했다.

이탈리아 밀라노 대학의 엔조 니솔리(Enzo Nisoli) 박사는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을 통해 “20가지 아미노산 가운데 측쇄아미노산(BCAA)으로 알려진 류신-이소류신-발린이 함유된 아미노산 보충제가 쥐의 수명을 12%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는 인간의 수명으로 환산했을 때 약 10년에 해당한다.

니솔리 박사는 건강한 중년 숫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이 3가지 아미노산이 풀린 물을 먹게 한 결과 아미노산 그룹의 평균수명은 869일로 대조군의 774일보다 12% 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미노산 그룹은 이와 함께 세포에 대한 에너지 공급이 증가하고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분자인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줄어들었다.

또 아미노산 그룹은 심장과 골격근에 세포의 발전소에 해당하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늘어나고 장수유전자로 널리 알려진 SIRT1 유전자의 발현이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에게도 같은 효과가 나타날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이 필요하겠지만 쥐실험 결과만 보면 특히 노인과 심부전, 만성폐질환 등이 있는 환자들에게 아미노산 보충제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니솔리 박사는 말했다.

BCAA ‘최고 농도‘ 함유한 수액제 주목

JW 중외제약의 ‘닥터라민’과 ‘에버라민’은 이처럼 뛰어난 효능이 증명된 아미노산 보충제를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인 형태로 신체에 공급할 수 있는 수액 형태의 제품이다.

‘닥터라민’은 5% 아미노산, ‘에버라민’은 6.9% 아미노산 수액제로 특히 BCAA가 허용치 최고농도인 45%나 함유되어 체단백 분해를 억제하고 체단백 합성을 촉진하여 스트레스가 심한 환자나 간질환 환자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58.8%의 높은 필수아미노산 함량으로 체단백 분해가 심한 환자의 Nitrogen Balance를 신속하게 개선시키고 삼투압이 약 500mOsm/L인 순수한 아미노산 수액으로 장기간 투여 시에도 통증 및 부작용이 거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병상에 누워 링거를 꽂고 있어야 했던 기존의 수액들과 달리 앉은자세에서 간편하게 투여할 수 있는 소용량 패키지로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편리하게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닥터라민’ ‘에버라민’의 서정욱 PM은 “환자와 개원의들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높은 효과와 고부가가치 제품”이라며 “최근 아미노산의 다양한 효과들이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알려지면서 이를 병상이 없는 개원가에서도 간편하게 접할 수 있는 아미노산 수액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biz&issue = 박혜선 기자 / 2011,03,10



3가지 아미노산 섞으니 늙지 않는 <불로초>

3가지 아미노산을 섞은 치료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불로장생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7일 밀란대학 연구팀이 ''세포대사학저널'에 밝힌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3가지 아미노산이 든 물을 마신 쥐들이
정상 식사를 한 쥐들에 비해 수명이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다 자란 수컷쥐를 대상으로 루신(leucine)과 이소루신(isoleucine),
바린(valine) 이라는 3종의 아미노산이 든 물을 먹게 한 결과 이 같은 물을 마신 쥐들이
수명이 12% 가량 길어졌으며 건강 역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에 대한 확증을 위해서는 인체를 대상으로 한
보다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라고 밝히며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인체에서
노화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아미노산의 역할에 대해
보다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됐다"라고 강조했다.

출처 : 메디컬투데이



건강보충 BCAA 효능 실험 결과 FIa Training 보충

2009/10/07 15:16

http://blog.naver.com/fiapt/20090856039

건국대 임기원교수,남녀 31명대상 임상실험 결과 발표
도쿄대 오타와박사 "고령자 BNP 지수개선...21세기는 아미노산 시대"

운동 전후에 BCAA(분지쇄 아미노산)을 섭취하면 뇌로 아미노산을 이동시키는 아미노산 전달체가 트립토판의 이동을 저해해 중추피로를 예방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끌고 있다.

건국대 체육교육과 운동영양학교실 임 기원 교수는 26()빅솔이 주최한 ´현대인의 생활과 아미노산´ 심포지엄에서 운동에 의한 근육통은 근육이 미세하게 손상되어 발생하는 말초성 피로로서, 필수아미노산 중 류신 이소류신 발린 등이 해당하는 BCAA 섭취로 이를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갖지 않은 21~24세 여성 16, 남성 15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BCAA 5g, 녹차분말 1g, 감미료 1.2g으로 조성된 BCAA용액(150)BCAA 대신 덱스트린 5g을 넣은 대조구(150)를 이용해 운동에 의한 근육 피로와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임 교수는 "중추피로의 원인은 뇌로 유입되는 트립토판이 늘어나 뇌에서 세로토닌의 합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며 "BCAA의 섭취는 운동 중 지방산화를 촉진시키고 피로를 지연시키는 기능이 있어 마라톤과 같은 지구성 운동능력 개선뿐 아니라 다이어트 식품에의 이용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미노산 섭취는 단기적으로는 110g/㎏ 장기적으로는 1년에 1.25g/㎏ 섭취 시 안전하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됐다"고 설명한 뒤, "운동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피로를 예방하면서 건강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의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을 개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일본 도쿄대학 오타니 마사루 박사는 "2000년 초부터 일본에서 불기 시작한 아미노산 열풍은 음료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으로 출시돼 2002926억엔, 20031545억엔, 20041800억엔 규모로 관련시장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고 말한 뒤 "초기엔 스포츠 선수들에게 애용됐으나 지금은 일반인들에게까지 개별 아미노산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심지어 경주마들의 경주실력을 높이는 제품에 응용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소개했다.

오타니 박사는 특히 스포츠 선수들의 경우 몸을 강하게 만드는 포인트로서 훈련 후 피로를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느냐가 관건인데, 이를 위해 의료분야에서 40년간 이용돼온 아미노산 중에서도 아르기닌 글루타민 BCAA가 대표적으로 꼽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BCAA는 체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대신 합성은 항진시키며, 중추성 피로를 경감시키고 간기능을 강화시켜 몸이 건강해지도록 한다.

또 아르기닌은 혈중 암모니아를 억제하며 일산화질소를 발생시켜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한편 혈중 유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력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인슐린 글루카론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몸이 피로하지 않도록 한다.

글루타민 역시 장 질환을 개선하고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며, 수술 후 후유증을 경감시키고 근육 단백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튼튼한 몸을 만드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이다.

오타니 박사는 60세 이상 남녀환자 35명을 대상으로 아미노산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고령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뇌경색 협심증 심근경색 등 혈관장애로 인한 질병 발생 시 상승하는 BNP 지수(심장스트레스의 지표) 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2001J리그 선수들에게 아미노산을 118g 섭취시킨 결과 BNP 수치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아미노산이 피로회복은 물론 근육통과 음주 후 숙취해소에 효과적이란 사실을 알게됐다"고 덧붙였다.

오타니 박사는 "아미노산은 운동선수들에게 뿐만아니라 어린이에서부터 청장년층은 물론 실버세대에 이르기까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21세기 대표적인 기능식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건강보충 BCAA 효능 실험 결과|작성자 fiapt



아미노산食 뇌손상 개선
마우스실험서 확인

20100225() 08:40:39
김준호 기자 jkim30@medical-tribune.co.kr

미국·필라델피아-뇌손상 마우스에 3종류의 분지쇄 아미노산(BCAA)으로 구성된 혼합물(아미노산 칵테일)을 먹이자 인지능력이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펜실베이니아대학과 필라델피아소아병원 아키바 코헨(Akiva S. Cohen) 박사가 “아미노산 칵테일을 이용한 식사요법은 외상성뇌손상(TBI)환자의 인지능력장애에 대한 치료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했다.

뇌손상에 대한 치료는 없어

미국에서 TBI는 소아와 젊은 성인의 사망 또는 장애의 주 원인이며 약 23초에 1명씩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의 대부분은 교통사고 때문이지만 전쟁 부상도 증가하고 있다. 500만례를 넘은 미국인이 TBI에 의한 영속적인 장애를 갖고 있다.

현재 치료에서는 TBI 후 발생한 위험한 뇌의 종창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근저에 있는 뇌손상에 대한 치료법은 아직 없다. 이 때문에 기억, 학습 등의 기능에서 자각되는 인지장애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로이신, 이소로이신, 바린 등 3종류의 BCAA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칵테일을 음료수에 섞어 마우스에 먹였다.

이전 연구에서 중증 뇌손상을 가진 사람에게 BCAA를 정주하면 경도의 기능개선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반응의 균형 검증

BCAA는 뇌활동의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하는 2종류의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민염산과 감마아미노낙산(GABA)의 중요한 전구물질이다. 글루타민산염은 뉴런을 자극하고 GABA는 이를 억제한다.

뉴런의 흥분이 너무 커도 너무 작아도 뇌는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는다. 그러나 TBI에서는 이 밸런스가 붕괴돼 있다.

TBI에서는 특히 뇌의 심부에 존재하여 고차(高次)의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해마가 손상되기 쉽다. 최근 연구에서 해마가 손상되면 BCAA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글루타민산염과 GABA의 총 레벨에는 변화는 없었지만 BCAA의 저하로 해마내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해진다.

이로써 일부 영역에서는 흥분하기 쉽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흥분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번 실험에서는 식사를 통해 섭취된 BCAA가 신경반응의 균형을 회복시킨다는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학습능력 회복

이번 연구에서는 마우스의 뇌에 손상을 주고 1주 후 공포에 대한 마우스의 조건반응을 관찰하고 정상 마우스와 비교했다.

특수한 우리에 들어가 약한 전기쇼크를 받은 다음 1주 후에 동일한 상태가 되면 정상마우스에서는 다음 전기쇼크를 예상하고 경직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뇌손상 마우스에서는 경직을 나타내는 횟수가 줄어들고 학습한 내용을 부분적으로 잃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낫다.

한편 식사를 통해 BCAA를 섭취한 뇌손상 마우스는 정상 마우스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반응을 나타냈다. 그리고 BCAA의 아미노산 칵테일로 뇌손상 마우스의 학습능력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팀은 이러한 행동상의 검토 외에 뇌손상 마우스와 대조 마우스 해마의 절편을 이용하여 전기생리학적 실험을 실시했다.

이 실험에서도 BCAA에 의해 신경활동의 밸런스가 회복됐다. 코헨 박사는 “전리생리학적 실험 결과는 뇌손상 마우스에서 관찰된 행동상의 지견과 일치했다”고 말했다.

BCAA투여 임상시험 예정

코헨 박사는 이번 결과를 근거로 “마우스 실험에서는 식사개입으로 뇌 손상부위에서 신경화학물질이 정상적인 밸런스로 회복됐다. 인지능력도 개선됐다. 마우스의 결과를 사람에서 재현할 수 있다면 TBI환자에도 BCAA를 음료형태로 섭취시키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사는 “BCAA를 정주하면 한번에 대량의 BCAA가 뇌의 수용체를 덮치기 때문에 얻는 효과에 한계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영양보조식품을 통해 BCAA를 섭취하면 보다 지속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마우스의 시험 결과를 사람 치료에 응용하기에는 여러 장애가 있지만 박사는 향후 경도~중등도의 TBI환자에 대해 BCAA식의 효과를 검토하는 초기 임상시험을 다른 연구자와 공동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미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았다.

김준호 기자
ⓒ 메디칼트리뷴(http://www.medical-tribune.co.kr)



간경화 환자의 간기능에 있어서 분지형 아미노산의 효과
The Efficacy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Liver Cirrhosis.

포천중문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편래현, 고광현*, 황성규, 임규성, 박필원, 홍성표

배경/목적: 간경화 환자에 있어서 경구형 분지형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s)의 투

여가 간기능에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1월부터 20037월까지 분지형 아미노산을 투여한 38명의환자와분지

형아미노산을투여하지않은100명을대상으로간암의발생빈도, 알부민, 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 ,Child-Pugh score 등을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분지형 아미노산을 투여한 환자의 평균연령은

51.7±10.2이고 남녀비는 29:9으로 대조군과 연령,성별, 간암의 발생빈도, 알부민, 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Child-Pugh score등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6.6±5.8개월이었고 분지형 아미노산 투여기간은12.8±4.6 개월이었다.

추적관찰후두군간의비교에서분지형아미노산투여군이대조군보다높은알부민치

(BACC:Control=3.3±0.5 mg/dl vs 2.8±0.6 mg/dl, p<0.001)와 적은 Child-Pugh score증가

(BACC:Control=7.7±2.1 vs 9.7±2.9, p<0.001)를 보였다. 그리고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었지만

프로 트롬빈 시간변화와(BACC:Control= -1.85 mg/dl vs 0.27 mg/dl, p<0.439)과 혈청 빌리루빈

의 상승폭(BACC:Control=0,2mg/dl vs 3.3 mg/dl, p<0.121)에서도분지형아미노산군의 간기능

이대조군보다향상되는경향을보였다.

간세포암의 발생빈도도 분지형 아미노산군(0/38)과 대조군(6/100)과는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

학적인 차이는 보이지않았다(Logistic regression, p=0.832).

결론: 경구용 분지형 아미노산 투여가 간경화환자에 있어서 간기능의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

.



BCAA 효과

BCAA에 대해서....

BCAA는 근육합성을 촉진하는 아미노 계열 보충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아미노산 보충제 입니다. BCAA 보충제의 역활을 간단히 정의하자면

BCAA는 근육이 만들어지는 기본 세포들을 단단히 결합시켜 근육이 손실되지 않고

오래 지속시켜주는 보충제라 할수 있습니다.

BCAA보충제는 근육을 키우는데 엄청난 효과를볼수 있게금 해줍니다.

BCAA는 로이신, 이소로이신, 발린의 세종류를 말하는것입니다.

이소로이신은 근육세포 대사에 참여, 산소를 나르는 헤모글로빈 생성에 관여합니다.

로이신의 경우 상처 회복에 영양분으로 사용되고, 혈당량을 감소시키며 대부분

근육 세포대사에 사용되며 이소로이신과 함께 헤모글로빈 생성에 관여합니다.

발린은 로이신과 성질이 비슷하여 근육재생에 큰역활을 하며, 두뇌활동에 활력을

부여하고 정서를 안정시키는 역활을 합니다.

이 세가지 아미노산을 따로 섭취하는것보다 한번에 같이 섭취하는게 근육성장에 

이상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또한 이 아미노산은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의 1:2:1.2의 비율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BCAA의 대사과정은 BCAA는 혈액을 타고 다니다가 근육사이로 들어가게 되면

근육안에서 대사 작용을 일으켜 근육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근육안에는 BCAA를 대사시키는 효소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간장에서 대사 작용을 일으키는 다른영양소와는 상당히 차별되는접니다.

이말은 이 성분이 적어지게 되면 근육활동이 약화된다는 것입니다.

즉 근육을 많이 쓰게 되면 BCAA소모가 많아진다는 말입니다.

고강도 웨이트후 BCAA를 섭취하면 우리 몸은 정상적인 단백질 합성을 하게 되며

근육이 쇤쉽게 성장하게 됩니다.

또한 BCAA는 지구력을 향상을 위한 보충제로도 쓰일수 있습니다.

이말은 BCAA가 에너지 원으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근 지구력을 증가시키려고 한다면 고강도 트레이닝 중에 BCAA 섭취하여

지방이 탈때까지 오랫동안 운동을 할수 있답니다.

또한 최근연구에 의하면 BCAA를 글루타민과 함께 섭취하면 극적으로 지방을

감소시키며 근육의 사이즈를 증가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프로가 되고싶은 보디빌더나 장거리를 뛰어야 하는 마라토너에게는 필수 적인  

영양 공급원이라 할수 있답니다. 프로가 되고싶다면 BCAA꼭 섭취하세요.

BCAA는 단독으로 섭취해도 되지만 글루타민과 함께 섭취하는게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올수 있습니다.

초 고강도 트네이닝을 하신다면 하루에 두번 10그램씩 드세요.

첫번째 섭취후 6시간 이후에 드시면 좋습니다. 

또한 최근연구에 의하면 BCAA를 글루타민과 함께 섭취하면지방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근육의 사이즈를 증가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알고싶은 보충제 BCAA

필수 아미노산인 BCAA는 간이 아니라 근육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특히 운동인들에게 중요하다.

아시다시피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원료이다.

단백질 식품을 먹으면 그것은 위와 소장에서 개별적인 아미노산과 짧은 아미노산 사슬로 소화되어 혈류 속으로 흡수된다.

이런 아미노산은 조직을 만들고 회복하는 것에서부터 뇌가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수 아미노산인 BCAA는 그것이 간이 아니라 근육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특히 운동인들에게 중요하다.

어떻게 작용하는가? 단백질이 한번 소화되어 개별적인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이 아미노산들은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거나 에너지를 위한 연료로서 태워진다.

간과 BCAA

결국 이 아미노산들은 간으로 가서 신체의 각 부분으로 전달된다. 간은 기아나 강도높은 운동 시와 같이 그것이 필요할 때 에너지를 내기 위해 대부분의 아미노산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BCAA는 간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특별하다.
이것은 간에서 BCAA를 분비하여 순환하게 만든다. 그러나 골격근은 에너지를 내기 위해 BCAA를 분해할 수 있고 기아, 외상, 운동과 같은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경우에 그렇게 한다.

다른 연료 즉 탄수화물과 지방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것은 BCAA의 산화를 막고 우리가 원하는 단백질 합성 즉 근육 생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중요한 것은 BCAA가 섭취하는 단백질 식사의 20%만을 차지하지만 순환하여 근육에 흡수되는 아미노산 양의 50-90%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BCAA는 근육 단백질에 가장 많이 편입된 아미노산이다. 그리고 그것은 이 근육의 1/3을 차지한다.

운동 중에 그것들은 아주 크게 이화되기도 한다(분해되어 에너지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두가지 이유외에 신체가 BCAA를 만들 수 없다는 사실이 운동인들에게 BCAA가 더욱 필요한 이유가 된다.

일반적인 상황

일반적인 상황에서 신체 에너지 요구량의 80-100%는 지방과 탄수화물에 의해 공급된다. 이것은 움직이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조차 아미노산이 20%까지 에너지 수요를 공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운동 중에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지방과 저장된 탄수화물(글리코겐)을 연료로서 태우고 결국 단백질까지 특히 BCAA, 글리코겐이 고갈되면 태우게 될 것이다.

근육 단백질은 BCAA의 풍부한 자원이지만 문제는 근육이 BCAA를 연료로서 직접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위기에 직면하여 BCAA는 스스로를 잡아먹고 자신의 단백질을 연료로서 산화시킨다.

이것은 운동 중 글리코겐이 고갈되었을 때 일어난다.

연구는 여러가지 운동의 10회 반복을 세트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각 세트마다 각 근육 글리코겐이 10% 이상 고갈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한 세트가 글리코겐 수준을 10% 고갈시킨다면 전형적인 좀 강도높은 세트가 얼마나 많은 글리코겐 고갈을 가져올 지 상상할 수 있다!

모든 스포츠맨

모든 스포츠맨은 근육 단백질 합성의 저하와 붕괴에서 오는 근육 크기와 근력의 감소를 피하고 싶어한다.

적절한 수준의 유동 BCAA가 당신을 슈퍼맨으로 (많은 양의 집중적인 섭취가 근접하게 하지만) 만들지는 않지만 부적절한 회복과 훈련 정체를 포함한 BCAA 고갈의 부정적 효과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먼저 충분한 단백질의 섭취로 신체의 항상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런 다음 집중적인 보충으로 이것에 더할 수 있다.

만약 이미 충분한 수준을 식사를 통해 섭취하고 있다면 실제로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충분한 단백질 섭취에 더하여 매일 충분한 양의 양질의 칼로리를 섭취하고 많은 휴식과 회복 시간을 가져야 한다.

적절한 칼로리와 탄수화물을 섭취함으로써 BCAA를 아낄 수 있다.

글리코겐 저장량이 클수록 BCAA가 근육 성장에 쓰이는 양이 많아지고 에너지로 산화되는 양이 작아진다.

휴식과 회복시간은 BCAA를 근육 성장으로 바로 가게 해준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이 근육 향상으로 가는 긴 여정이 되겠지만 우리는 아직 BCAA 보충의 실제 효과에 대해 완전히 이야기하지 않았다!

BCAA 보충의 이점

이제 바로 그 시간이다! 집중적인 BCAA 보충이 당신에게 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과학은 우리에게 BCAA 보충이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 이상의 것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면역 기능 향진

아프다면 훈련 하기가 힘들고 게다가 성장하기는 더욱 힘들다는 것을 기억하라.

근력이나 근육 사이즈의 큰 손실없이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는 훨씬 더 어렵다. 고강도나 많은 양의 훈련을 할 때 면역 기능은 억제되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BCAA를 보충함으로써 글루타민 손실을 줄인다.

이것은 면역 기능에 필수적인 것이다. 거기에 더하여 BCAA는 신체의 이화 상태를 막아주고 운동이 줄 수 있는 손상을 줄이고 그것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단백질 합성 촉진

BCAA는 독립적으로 근육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말로 하면, 웨이트 트레이닝이 없이도 근육 성장을 이끄는 능력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는 BCAA 보충이 테스토스테론, 성장 호르몬,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들 모두는 높은 동화 호르몬들이다. 연구 결과는 또한 극심한 스트레스 즉 고지에서의 21간의 하이킹에서도 매일 10gBCAA 보충이 근매스 증가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은 동화 자극이 없이도 근육 성장이 있었다는 것이다.

▶ 지방 감소 촉진

BCAA 보충은 내장 체지방의 중대하고 우선적인 감소를 촉진하는 것을 보여준다.

피하 지방 아래 깊은 층에 위치하고 있어 내장 지방은 다이어트에 저항하고 빠지기가 어렵다.

25명의 레슬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BCAA를 많이 섭취한 그룹이 평균 17.3% 체지방이 감소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감소된 지방의 많은 부분은 복부 지방이었다. 이것은 BCAA가 복부를 집중적으로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믿음을 준다.

BCAA 그룹과 제어 그룹으로 나누어진 또 다른 연구 결과는 두 그룹 모두 체중이 줄었지만 BCAA 보충 그룹은 근육 성장이 있었고 다른 그룹은 근매스의 손실을 보였다.

BCAA가 어떻게 지방 연소와 근육 성장을 가져오는가에 관한 한 이론은 이렇다.

운동 중에 많은 양의 BCAA가 존재하면 신체는 혈류 속의 높은 BCAA 수준은 감지하고 이것을 과도한 근육 붕괴의 신호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근육 붕괴를 멈추고 연료로 더 많은 지방을 사용하는 것이다. 동시에 혈액 속의 여분의 BCAA는 인슐린을 자극하여 BCAA가 바로 근육으로 가게 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체지방을 줄고 근육 성장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다.

이 이론이 맞다면 체지방 감소를 최대한 이끌어 내려면 운동 전 2시간 중에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회복 증가

아마도 하드 트레이닝을 하는 스포츠맨에게 가장 큰 효과는 BCAA의 보충 후에 회복의 증가일 것이다.

대부분의 스포츠맨은 BCAA 섭취를 시작한 후 곧 운동 후의 근육 통증의 양이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느낀다.

BCAA 사용의 다른 효과가 없다고 해도 이것은 운동으로 생긴 단백질 손상(근육이 손상되어야 성장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으로부터 더 빠른 회복을 뜻한다.

이것은 다시 더 빠른 크기와 근력 회복을 뜻한다. 증가된 회복력으로 더 힘들고 더 자주 훈련할수록 더 빨리 당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항이화 효과

BCAA는 아마 항이화 작용을 통해 그들의 동화 효과를 수행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근육 단백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근육 단백질의 붕괴를 막아준다.

부분적으로 이것이 그들이 연료로서 자신을 희생하는 이유이다. 운동 중 근육 단백질이 덜 붕괴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증가된 근육 합성과 더 많은 근육을 가지게 된다!

▶지구력

BCAAl-알라닌의 형태로 질소를 공급한다.

이것은 글리코겐이 고갈되었을 때 신체에 글루코오스를 공급한다. 글리코겐 보유를 생각할 때 아마도 탄수화물을 생각하겠지만 BCAA는 여기에서도 가치가 있다.

4주간의 연구에서 일본 연구원들은 쥐에게 BCAA를 투여하고 지칠 때까지 운동시켰다.

BCAA 그룹은 운동중 간과 골격근 속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그것들이 고강도로 더 오랜 시간을 훈련할 수 있게 해 준다는 뜻이다.

BCAA 보충은 줄여진 식사에서 보통 공급된 에너지로서 당신의 훈련 강도와 지구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저탄수화물이나 저 칼로리 다이어트 중인 사람이라면 명백히 이것에 감사할 것이다!

나는 지금까지는 모든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든 BCAA 보충으로부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고 생각한다.



연구를 통하여 입증된 BCAA의 혜택

BCAA는 독성물질 Carbon tetrachloride로부터 간을 보호해 간의 손상을 막는다.
이러한 보호과정은 간 경변 치유에 도움을 준다.

근육손실을 막고 근육의 긴장도와 지방연소를 증가시키는 BCAA는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사용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34% 가량의 복부 지방 감소를 보였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수면 질환 중 하나인 수면성 무호흡은 호흡기 계통의 장애로 사망에
이르기까지 하는 위험한 수면질환이다. BCAA의 투여는 매일 밤 평균 58회의
무호흡 발작을 11회로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환자의 수술 후 회복속도를 개선시킨다.
환자의 에너지 대사를 증대시켜 피로를 개선한다.

BCAA는 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지방의 연소를 도와 빨리달리기와 같은
고강도 운동시 에너지 스퍼트를 제공한다. 테니스처럼 장시간 지속되는 유산소
운동의 경우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 된다. 마라토너의 경우 BCAA를 섭취하면
기록 단축과 지구력 증가가 관찰된다는 보고가 있다.

연구에 따르면 BCAA는 근육의 손실 없이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체중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BCAA를 섭취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참가자의 경우 실제근육량이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

따라서 BCAA는 식욕조절제나 지방흡수블로커와 같은 체중감량약품과 달리 안전하게 체중을 감소 시키며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천연 영양소이다.

BCAA는 부작용이 많은 스테로이드 물질의 대체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간 경변,감염증과 같은 질병의 치료와 수술/외상 회복을 돕는 의료용 목적 뿐만 아니라

근육 대 지방의비율을 올리고 근육대사와 지방연소를 촉진하는 피트니스 개념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영양소로서
현대인의 건강유지와 대사활성화, 운동선수의 기록향상, 환자의 빠른 회복 등에 반드시 필요하다.



[아미노산 정보] 피곤할땐 아미노산

여러분 안녕하세요! 건강닥터 입니다.

아미노산 하면 보통 몸의 피로를 풀어준다는 생각을 많이들 가지고
있는데 실제로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 피곤하다!' 라고 느낄때는
흔히 몸에 젖산이 쌓인것을 말합니다.

이 젖산이라는 물질은 피로물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장시간 노동이나
운동을 했을때 근육에 쌓이는 것이죠. 이 젖산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바로 BCAA라 불리는 아미노산입니다.

운동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BCAA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BCAA'류신, 이소류신, 발린' 이라고 하는 분기쇄형
(곁사슬이 가지나누기 되어 있음) 의 구조를 가지는 필수 아미노산을 말하죠.
다른 아미노산이 간에서 대사되는 것에 반해
이들 아미노산은 근육으로 옮겨져 대사가 됩니다.

또한 BCAA에는 운동에의한 피로를 예방하고 체력을
지속시키고 근육통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답니다.

운동선수가 운동을 하기전에 BCAA를 섭취하는 것은 운동에 의해
이들이 에너지로 이용되어 젖산의 발생을 최소한 억제하여 근육의
피로를 줄이고 체력을 지속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꼭 운동선수가 아니더라도 BCAA를 섭취함으로써 피로를
풀 수 있으니 다들 참고하시길 바랄께요.

* BCAA 효과

BCAA는 근육합성을 촉진하는 아미노 계열 보충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아미노산 보충제 입니다.

BCAA 보충제의 역할을 간단히 정의하자면,

BCAA는 근육이 만들어지는 기본 세포들을 단단히 결합시켜 근육이 손실되지 않고 오래 지속시켜주는 보충제라 할 수 있습니다.

BCAA보충제는 근육을 키우는데 엄청난 효과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

BCAA는 로이신, 이소로이신, 발린의 세 종류를 말하는 것 입니다.
이소로이신은 근육세포 대사에 참여, 산소를 나르는 헤모글로빈 생성에 관여합니다.



VALINE, LEUCINE, ISOLEUCINE(BRANCHED-CHAIN AMINO ACIDS)
: 근육의 에너지원(Muscle fuel), 필수아미노산

carbon chain branches를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의 세가지 아미노산으로 BCAA라하며 근육의 원료가 된다.

** 매일 음식에서 공급받는 필수 아미노산의 50% 정도를 차지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고기, 달걀, 생선, 기타 단백질 식품은 약 20여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렇게 섭취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50%가 이 세가지 아미노산이다.

기능

BCAA들은 단독으로 또는 공동으로 작용하여 우리 몸의 근육의 원료가 되며, 근육의 주요한 에너지원으로도 사용된다. 인체대사로 인한 자연적인 소실이 있을 때 뼈를 제외한 모든 조직과 근육을 유지한다. 특히,

*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지 못했을 때,
* 과다하게 운동했을 때,
*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 몸이 아플 때 BCAA가 빨리 수복한다.
, 신장쇠약 말기, AIDS, 또다른 손상성 질병이 있을 경우에 BCAA의 손상은 가속화되므로 글루타민과 함께 정맥주사로 보충하기도 한다.

BCAAs의 효능
1) 근육형성과 체지방감소 작용 11-2g
효과적으로 지방을 감소하고 근육을 형성한다. 별다른 칼로리 조절 없이 매일 일정량의 BCAAs를 복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체중관리를 할 수 있으며 약 34% 정도의 위장 지방의 감소가 있다.
2) 수술 후 회복 11-2g 수술후의 회복속도를 빠르게 하며 부족한 에너지를 빠르게 공급해준다. 이는 뇌의 serotonin을 감소시켜 피곤을 덜 느끼게 하며 근육의 파괴를 막고 생성속도를 빠르게 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3) 간 손상보호, 간경화의 회복에 도움 1500mg-2g독성물질로부터 간손상을 보호한다.
동물 실험결과를 보면 BCAAs는 독성용매인 carbon tetrachloride로부터 간 보호작용이 발견되었다.
4) 무호흡 수면 개선 11-2g 무호흡 수면 증상을 개선한다.
5) 심장근육과 근육 보호작용 1500mg-2g 근육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심장기능을 증진시키며 심장질환을 예방,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마라톤, 테니스 등의 장시간 동안 하는 운동의 에너지원이 되며, 단거리 달리기 같은 순간적인 근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 시 근력을 증강시키며 근육보호 작용을 한다. 매일 복용할 경우 운동능력 증진되며 운동시 피곤함을 덜 느끼게 된다고 한다.
혈중의 carbon dioxide의 양을 감소시켜 폐를 무리하지 않도록 해 호흡을 원할히 하는 효과가 있다.
6) 루게릭병(Lou Cehrig's disease) 개선
BCAA를 하루 10g 투여하면 Lou Cehrig's disease로 인한 근육의 마비증상을 늦추거나 사망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한다.
7) Parkinson's disease증상을 개선 11-2g
8) 혈당 유지작용
** Leucine은 음식섭취를 하지 않을 때 glucose 대신 에너지를 생성하는 유일한 amino acid로 혈당을 유지한다.
** Valine은 근육조직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근육대사, 조직재생, 인체의 질소평형 유지, 약물탐닉에 의한 아미노산결핍증을 교정한다

SUPPLEMENT SUGGESTIONS (부작용 없음.)
비록 보디빌더, 체중 강화자들이 BCAA를 보충을 한다 해도 갑자기 많은 근육을 얻을 수는 없다. 가장 좋은 효과는 L-글루타민, 또다른 필수 아미노산과 함께 이 3가지 영양소가 함께 섭취되어야만 한다. 좋은 용량은 하루 발린 4-5g, 루이신 3-4g, 이소루이신 2-3g, L-글루타민 4-6g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