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BA (감마아미노낙산)



감마아미노낙산(GABA)

신경 안정제로 작용하고 적절한 뇌기능에 중요하다.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아미노산으로 신경 단위 세포의 작용을 감소시키고, 신경세포가 과잉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나이아신 아미드와 이노시톨과 함께 GABA는 뇌의 운동센터의 수용체 부위를 점령함으로써, 불안 및 스트레스와 관련되는 메시지가 뇌의 운동센터에 도착하지 못하게 한다.

GABA는 주의력결핍장애의 처치에 효과적이고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보충제 형태로 섭취할 수도 있고, 쌀 중에 백미는 껍질을 제거해서 GABA 성분이 전혀 없고 현미, 쌀눈쌀, 발효쌀에는 GABA 성분이 그대로 살아있다.



GABA의 생성과 이용

강태진, 오석흥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 : tjkang156(at).naver.com

GABA는 세계적으로도 식품소재로서 1980년대 중반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2001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한 성분이다.

GABAγ-아미노부티르산(Gamma-Amino Butyric Acid)의 약자로 GABA라는 단어가 가장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GABA4개의 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glutamate decarboxylase(GAD)L-glutamate의 탈탄산 반응에 의해 CO2와 함께 생성되며 (Satya Narayan & Nair, 1990), pyridoxal-5'-phosphate dependent 경로로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Krogsgaard-Larsen, 1989; Mody et al., 1994) 뇌 혈류개선, 산소공급 증가,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시켜 신경안정 작용(Mody et al., 1994),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증진, 혈압강하작용, 우울증 완화, 중풍과 치매 예방, 불면, 비만, 갱년기장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뇌졸 및 결장암, 대장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 억제효과 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Oh & Oh, 2003, 2004) 이러한 효능을 목적으로 한 제품개발이 연이어 이루어지고 있다.

Category : Molecular_Biology, Plant Science



GABA의 효능 (쌀알의 쌀눈에도 포함되어 있는 독특한 성분)

GABA는 일명 피페리딘산이라고 불리면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 주로 포유류의 소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우리가 흔히 먹는 쌀알의 쌀눈에도 포함되어 있는 독특한 성분으로 유명합니다.

GABA는 우리 인체의 속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고등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의 억제적 화학전달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흥분을 억제하여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물질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GABA는 독성이 없고 혈압강하 작용이 탁월한데다가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밝혀져 최근 외국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이용되는 매우 독특한 영양소인 것입니다.

최근 고혈압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쌀눈에 함유된 GABA40도의 물에다 1시간 정도 담가두면 100g2.2mg에서 300mg으로 대폭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쌀눈에 함유되어 있는 GABA는 청소년기의 두뇌활동을 도와 학습능력에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기억력 감퇴 현상을 현저하게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쌀눈이 있는 쌀(현미,황미)을 가리켜 이른바 '머리가 좋아지는 식품' 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것입니다.

1. 혈압강하

GABA가 고혈압에 뚜렷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신장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이뇨작용을 도와 불필요한 염분을 배출해준다는 것입니다. 하루 찻잔 한잔 도만 먹으면 고혈압과 뇌졸중 예방 등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2. 치매, 건망증, 우울증 개선

GABA는 건망증과 치매 등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병에도 큰 효과가 있습니다. GABA는 뇌 속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라는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나이가 들면 들수록 현저히 감소된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치매환자를 비롯한 정신적 공황상태나 불안상태에 있는 환자들의 뇌하수체액을 조사해보면 가바가 뚜렷이 감소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쌀의 배아에 함유된 가바를 먹음으로써 뇌 속의 가바가 증가, 이러한 제반증상이나 노망, 건망증, 우울증 등을 예방하고 개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3. 간의 활성화

GABA에는 간 기능을 정상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그 기능의 전체적인 규모는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알코올 분해를 빠르게 하는 기능이 있다는 것입니다.

보통 소주 한잔 정도의 술을 마시면 약 4~5시간 후에야 거의 분해 되게끔 마련인데, GABA를 섭취할 경우에는 약 3시간 정도만으로도 분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1~2시간이나 빨리 알코올이 분해 된다는 사실이 실험에 의해 알려진 것입니다.

4. 당뇨의 개선

현대인의 대표적인 지병으로 알려진 당뇨병은 췌장을 혹사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 병입니다. 일반적으로 고 칼로리 식사를 계속하다보면 단백질이나 당분, 지방분 드을 분해하는 효소와 호르몬의 인술린을 분비하는 췌장활동이 제대로 부합하지 못하고 그 기능이 파괴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GABA는 높은 혈당치를 내려가게 하고 일정한 수치로 컨트롤해주는 기능이 있어서 바로 이와같은 당뇨병을 개선해주는 다양한 효과가 있습니다.

GABA 각 장기들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줌으로써 당분 등 에너지 소비를 촉진시켜줍니다.

GABA 췌장의 각종 효소분비와 그 활동을 높여줍니다.

GABA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줄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포도당 양까지 감소시켜 줍 니다.



가바(GABA)의 효능

2009/06/16 13:56
http://blog.naver.com/hangbokmake

감마아미노부티르산 [ γ- aminobutyric acid ]

무색의결정

GABA 또는 피페리딘산이라고도 한다.

분자량은 103.12, 녹는점은 203℃로 물에 잘 녹는다.
생물계에서는 글루탐산에서 이산화탄소가 빠져 나가는 과정을 거쳐 효소로서 생성된다.

식물계에서는 이 효소와 함께 GABA가 널리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동물에서는 뇌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1950년 미국의 생화학자가 처음 발견하였다.

그 후, 각종 동물조직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는데, 포유류의 뇌 속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아미노산으로, 고등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아, 중추신경계의 억제적 화학전달 물질이라고도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다.

독성은 없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외국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이용한다.

학습능력 키우고 스트레스 줄이 '가바'

인체의 뇌와 야채, 과일, 쌀 등에 들어있는 물질인 '가바(GABA)'가 학습능력을 증진하고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ㆍ일 합작 바이오벤처인 파마바이오(www.pharmabio.co.kr 대표 김 무조 홍성용)"새로 찾아낸 균주를 통해 가바를 생산하고 이를 갖 고 실험한 결과 학습ㆍ기억능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것으 로 확인됐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에 앞서 김무조 사장(농학박사)은 최근 건국대에서 열린 한국미생 물ㆍ생명공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 다.
가바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하나로 지금까지 혈압저하 및 이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번에 또 다른 기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됐다.

파마바이오는 김치에서 새로운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 K-3' 를 찾아내고 이 균주를 통해 가바를 대량생산했으며 여기서 나온 가 바의 효능을 측정했다.

이에 따르면 한 그룹의 쥐에게 하루 한 번 가바수용액(체중 ㎏당 가 바 100㎎ 비율), 다른 그룹에는 생리식염수를 먹이고 학습능력을 측정했다.

실험은 램프가 켜지면 바닥에 전류가 흐르고 벽면에 있는 스위치를 건드리면 전류가 끊어지도록 설계된 장치를 통해 이뤄졌다. 바닥에 올려진 쥐는 전류가 흐르면 충격을 받아 이리저리 뛰어다니다 자기도 모르게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5주에 걸친 실험에서 가바를 먹은 쥐는 3주 뒤부터 스위치를 찾아내 는 능력이 비교대상 쥐보다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34세 남녀 13명에게 하루 70㎎의 가바를 투여한 뒤 뇌파를 측정한 결과 가바 섭취군은 신경상태가 안정적일 때 나타나는 알파파가 높아졌고 스트레스 때 많아지는 베타파는 억제됐다. 또 알파파를 베타파로 나눈 값도 가바를 먹였을 때 높아졌다.

김무조 사장은 "가바 섭취는 신경계 등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새로 찾아낸 균주를 통해 가바를 대량 생산, 일본에 서 각종 식품원료로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 식품회사들에 공급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재일교포 2세로 일본 파마푸드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김 사장은 90년 대 중반부터 가바개발에 나섰으며 지난 2000년 코스닥등록기업인 파 워넷과 합작해 한국에 파마바이오를 설립했다.



GABA(감마 아미노 브틸산)의 효능
Posted by 비웰

신경안정에 좋은 GABA
GABA (Gamma Amino Butyric Acid) 는 신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아미노산 입니다.
뇌기능을 정상화시켜주는 두뇌의 신경 전달 물질로 주로 두뇌와 눈에서 발견됩니다.

가바는 처방약 신경 안정제와 같은 작용을 하지만 중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질 입니다.

GABA(감마-아미노부틸산, γ-Aminobutyric Acid)는 고혈압증, 당뇨병 등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고, 불면증, 우울증 등의 정신 안정 작용과 비만 억제 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근래 화제가 되고 있는 기능성 물질입니.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1950년에는 포유동물의 뇌 추출액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

GABA는 단백질을 만들지는 않지만 뇌신경계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입니.
뇌 속에서 글루탐산으로부터 클루탐산 탈탄소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데, 신경세포의 흥분을 억제하는 전달 물질로 알려져 있어, 신경 안정에 효과가 큽니.

뿐만 아니라 혈압강하 작용과 이뇨 작용, 비만억제 작용 등도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

효능

o 스트레스를 받거나 극도로 불안정, 활동항진의 때에 가바는 두뇌의 알파파 활동을 증진시킵니다.

o 스트레스, 긴장을 초래하는 신경전달을 억제하여 두뇌기능을 정상화시킵니다.

o 스트레스와 긴장, 신경불안정, 긴장으로 인한 고혈압, 간질, 정신분열증, 활동항진, 불면 등의 증상을 개선시켜 줍니다.

o 을 안정시킵니다.

o 혈압강화 작용, 이뇨작용, 비만억제 작용이 있습니다.



GABA, '당뇨병·대사증후군' 예방
Posted by 비웰

일반의약품 다이어트 보충제가 전 세계 수 백만명이 앓는 2형 당뇨병 발병과
대사증후군 발병과 연관된 인슐린 내성및 당불내성 발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CLA 연구팀이 밝힌 조기 전임상시험결과에 의하면 GABA 라는 자연 생성 아미노산 같은 물질을 인슐린 내성이 있고 2형 당뇨병 조기 단계인 비만인 쥐에게 투여한 결과 GABA 가 이 같은 장애 발병과 연관된 염증성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GABA가 질병 진행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이미 2형 당뇨병이 발병한 후 조차에서도 당내성및 인슐린 감수성 역시 개선시킬 수 있다라고 밝혔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염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직접 GABA 가 활성을 내는 조절형 면역세포를 이번 연구결과 확인했다"라고 밝히며 "추가 연구를 통해 향후 보충제나 이와 연관된 약물 형태로 GABA를 섭취하는 것이 비만과 연관된 2형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을 치료할 수 잇는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