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류(Varicose Vein)의 자연처방



김청호의 자연치유의 영양학적 상승효과 (Nutritional synergism of Natural cures)
정맥류(Varicose Vein)의 자연처방

*명처방
-Horse chestnut(Aesculus hippocastanum)
-Butcher’s broom(Ruscus aculeatus)
-Grape seed extract or Pinebark extract
-Dietary fiber
-Bromelain
-Vitamin C with bioflavonoids
-Quercetin

마로니에 추출물(Horse chestnut extract)

정맥은 아주 유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맥벽에 결함이 생기면 그 결과 정맥이 확장되고,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며, 심장으로 유입되게 해주는 판막(Valves)에 손상이 야기된다. 만일 판막이 손상되면 혈액이 고이고, 정맥이 돌출하게 되는 것을 정맥류(Varicose vein)라고 한다. 정맥류는 중년 성인의 거의 50%가 이환된다. 정맥류는 주로 서 있을 때 정맥에 나타나는 중력압 때문에 하지에 나타난다. 따라서 장기간 서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정맥류에 걸릴 위험이 제일 높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약 4배나 더 빈번하게 이환된다. 비만한 사람도 위험율이 아주 높고 나이가 증가하면 조직긴장도의 손실, 근육량 손실 및 정맥벽의 약화로 말미암아 위험이 증가된다. 또한 임신은 하지의 정맥압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임부는 정맥류에 잘 걸린다.
자연요법(natural remedies)은 판막을 포함하여 정맥류의 완전성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정맥류의 과정을 역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설령 모든 정맥류가 소실되지 않더라도 자연의약품은 통증을 경감시키고, 기존 정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정맥류의 형성을 중단시켜준다.

마로니에 추출물은 정맥류 치료 시 일차 선택 화합물처럼 보인다. 마로니에 추출물은 나무의 열매 및 수피로부터 만들어진다. 마로니에 추출물은 순환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하지경련(les cramps)을 경감시키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정맥을 통한 혈류의 부족을 의미하는 ‘정맥부전(Venous insufficiency)’ 치료에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마로니에 추출물의 주성분은 에신(escin)으로서 정맥판막(Vein Valves), 정맥벽(Walls) 및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실제 임상에서 마로니에 추출물은 압박스타킹(Compression stocking)만큼 유효함이 판명되었다. 정맥류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마로니에 추출물과 하지 압박스타킹간의 유효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환자는 마로니에 추출물(1escin 50), 압박스타킹 또는 위약을 투여 받았으며 12주간에 걸쳐서 치료를 시행하였고, 그 유효성은 하지의 액량을 측정하는 기계에 의거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압박스타킹 요법의 경우 하지액량이 평균 56.5, 마로니에 추출물은 53.6㎖가 감소되었으나 위약(placebo) 투여군은 오히려 9.8㎖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압박스타킹 및 마로니에 추출물은 부종(edema)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환자들은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 보다 마로니에 추출물을 선택하는 경향이 더 높다. 왜냐하면 압박스타킹은 일반스타킹과 달리 특수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고가이고, 착용 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착용이 아주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로니에 추출물의 표준품(1escin 50)은 항부종(anti-edema) 및 항염증(anti-inflammatory) 작용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모세혈관 투과성(capillary permeability)을 저하시킨다. 연구결과 에신(escin)은 정맥긴장작용(Venotonic activity)을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정맥긴장제(Venotonics)는 정맥벽의 탄력섬유 수축력을 증가시킴으로서 정맥긴장도를 개선시키는 물질이다. 따라서 정맥긴장작용은 정맥류 치료 시 마로니에 추출물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주요인자가 되고 있다.

나도죽백(Butcher’s broom)

나도죽백은 치핵과 정맥류와 같은 정맥 질환의 치료에 오랜기간동안 사용되어왔다. 나도죽백의 주성분은 ‘루스코제닌(tuscogenin)’이다. 이 화합물은 항염작용 및 혈관수축작용(Vasoconstrictor effects)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수의 정맥류는 염증화되어 정맥염(Phlebitis)으로 전환된다. 이때 나도죽백을 사용하면 염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럽에서 나도죽백 추출물은 정맥류 및 치핵 치료 시 내복 및 외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임상연구는 나도죽백 추출물에 바이오후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비타민 C를 병용 투여한 경우다.

포도씨 추출물(Grape seed extract) 또는
해양소나무수피 추출물(Maritime Pinebark extract)

이들 추출물은 정맥벽(Vein wall)을 강화시키는데 탁월한 바이오후라보노이드인 안토씨아니딘(anthocyanidins)과 프로안토씨아니딘(proanthocyanidins)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정맥벽의 완전성(integrity)이 증가하면 정맥류의 발현 위험이 감소된다. 프로안토씨아니딘과 안토씨아니딘은 정맥과 전체 혈관 시스템의 지지구조의 완전성을 개선시킨다. 이점에서 포도씨 추출물과 소나무수피 추출물이 가장 인기가 있고 가장 유효한 작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한 식품은 딸기류(블루베리, 블랙베리), 체리, 포도 및 티(tea) 등이 있다.

총 후라보노이드 5%를 함유하고 있는 표준화된 티는 메밀의 주요 후라보노이드인 루틴(rutin) 270(1일량)을 함유하고 있다. 메밀티는 하지의 총액량(total leg volume)을 현저히 감소시켜준다.

정맥류 치료 시, 바이오후라보노이드의 효과는 ①모세혈관 유약성(capillary fragility)을 감소시키고, ②정맥벽의 완전성을 증가시키고, ③기질물질(ground substance)을 구성하고 있는 화합물의 파괴를 억제하고, ④정맥의 근육긴장도(muscular tone)를 증가시키는 작용과 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식이성섬유(Dietary fiber)

정맥류는 고 섬유식을 섭취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저 섬유식이나 고정제 식품은 정맥류의 발현에 기여를 한다. 따라서 저 섬유식(Low-fiber diets)은 정맥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아마도 더욱 악화시킨다. 그 이유는 저 섬유식과 변비간의 연관성에 기인된다.

저 섬유식을 소모하고 있는 사람들은 분변이 더 작고 더 딱딱하여, 장 통과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장 운동시 무리하게 힘을 더 쓰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긴장(straining)은 복부의 압을 증가시켜서 하지에서 혈액이 올라가는 것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복부의 압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벽을 현저하게 약화시켜 정맥류와 치핵을 형성시키거나 대장의 벽을 약화시켜 대장에 게실(조그마한 바같주머니)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고 섬유식(High-fiber diets)은 정맥류 그리고 치핵의 예방과 치료 시 가장 중요한 구성인자다. 또한 천연의 부피증가제(natural bulking agent)인 차전자피, 펙틴 및 구아껌은 물을 끌어들이고 동시에 젤라틴 덩어리를 형성하는 능력으로 인하여 경미한 하제작용(mild laxative ac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 연동 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시 복부 긴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브로멜라인(Bromelain)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 식물에서 추출한 단백 분해효소다. 정맥류 환자는 응괴 및 반흔 형성(scar formation)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하나인 피브린(fibrin)을 파괴할 능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피브린이 정맥류의 주위 조직에서 침착된다는 사실은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피부가 딱딱하고 덩어리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피브린과 지방의 존재에 기인된다. 더구나 피브린 용해작용(fibrinolytic activity)이 감소되면 혈전형성(thrombus formation)의 위험이 증가되어 혈전성 정맥염, 폐색전증 또는 뇌졸중 등이 야기 될 수 있다. 또한 정맥벽은 피브린의 파괴를 촉진시키는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plasminogen activators)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정맥류가 야기된 정맥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의 농도가 감소된다.

브로멜라인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와 동일한 기전으로 작용하여 피브린을 파괴시킨다. 따라서 브로멜라인은 정맥류의 주위에서 발견되는 딱딱한 피부와 덩어리의 발현을 예방해주기 때문에 정맥류의 치료 시 적합한 제제로 지목되고 있다.

바이오후라보노이드 함유 비타민 C(Vitamin C with bioflavonoid)

비타민 C는 바이오후로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병용 사용 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제제는 정맥벽을 강화시키고 순환을 촉진시킨다. 만일 이들 영양소가 결핍되면 하지의 통증과 모세혈관의 유약성을 증가시킨다. 추천 용량은 12,000~3,000㎎의 비타민 C를 무한정 사용한다.

쿼세틴(Quercetin)

쿼세틴은 바이오후라보노이드 제제로서 정백벽을 강화시켜 정맥류를 치유하고 예방하는데 환상적인 성분이다. 왜냐하면 완전히 청색이고 통증이 심하고 부어오른 정맥류를 가진 하지가 이 영양소만으로 완전히 치유되었기 때문이다. 용량은 쿼세틴 500~600㎎씩을 13회 투
여한다.